김찬진의 개발 블로그

[23/05/03] 서블릿 객체와 서블릿 내장 객체 본문

1일1배움/Spring (김영한 님)

[23/05/03] 서블릿 객체와 서블릿 내장 객체

kim chan jin 2023. 5. 3. 12:12

영한님이 정리해주신 성스러운 글이다.

꼭꼭 씹어먹자

 

서블릿 객체와 서블릿 내장 객체는 다른 것입니다. 이 두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각각을 설명하겠습니다.

  1. 서블릿 객체: 서블릿 객체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블릿 객체는 보통 싱글톤 패턴으로 구현되어,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단 하나의 인스턴스만 존재하며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재사용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메모리 효율성과 성능이 향상됩니다.
  2. 서블릿 내장 객체: 서블릿 내장 객체는 서블릿이 처리하는 요청과 응답과 관련된 정보와 기능을 제공하는 객체입니다. requestresponse 객체는 이러한 내장 객체의 예입니다. 요청이 발생할 때마다 새로 생성되며, 서블릿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객체들은 요청마다 독립적인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요청이 발생할 때마다 새로 생성됩니다.

서블릿 내장 객체와 서블릿 객체의 관리는 서블릿 컨테이너가 담당합니다. 서블릿 컨테이너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환경으로, 서블릿 객체와 서블릿 내장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합니다. 서블릿 객체는 싱글톤 패턴으로 관리되며,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request와 response 객체를 생성하여 서블릿 객체에 전달합니다.

요약하자면, 서블릿 객체와 서블릿 내장 객체는 다른 것이며, 서블릿 객체는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반면, 서블릿 내장 객체는 요청마다 생성되어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들의 관리는 서블릿 컨테이너에 의해 수행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