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진의 개발 블로그
23/02/14 [Spring 동작 순서] 본문
1. client에서 url(localhost:8080/hello-static)요청
2. 내장톰캣서버(WAS=Web Server+Wep Application)가 Spring Container 내에 해당 url(hello-static)을 처리하는(url과 매핑되어 있는) Controller객체(Spring Bean)가 있는지 확인
3. 내장톰캣서버가 해당 url을 처리하는 Controller객체(@GetMapping("hello-static"))가 있음을 판단하면 그 객체의 반환값을 뷰리졸버가 받아서 (변환하고) template폴더 내의 hello-static.html을 찾아서 client에게 보냄
4. 내장톰캣서버가 Controller객체가 없음을 판단하면 static폴더 내의 hello-static.html을 찾아서 client에게 보냄
'1일1배움 > Spring (김영한 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4/04] extends와 객체 생성의 차이 (0) | 2023.04.04 |
---|---|
[23/04/04] 만약 이미 UserDao가 다른 목적을 위해 상속을 사용하고 있다면 어쩔 것인가? (0) | 2023.04.04 |
[23/03/31] 클래스 다이어그램 (0) | 2023.03.31 |
23/02/13 [DI(Dependency Injection)] (0) | 2023.02.13 |
23/02/13 [인텔리제이 단축키 정리] (0) | 2023.02.13 |
Comments